본문 바로가기
Trend

박군 '보청기'착용 권유 원인이 된 질병

by trendoo 2023. 3. 8.
반응형

출처 = SBS

박군은 최근 SBS 예능프로그램 '동상이몽2-너는 내 운명’에서 오랜 군 생활 후유증으로 청력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밝혔다. 의사는 박군의 현재 청력 상태에 대해 "소음성 난청"이라며 "약물 치료가 없다. 더 악화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언어 분별력이 더 약화하지 않도록 보청기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고 말했다. 박군은 "보청기 얘기하는데 가슴이 철렁하더라"라며 “다른 가수 분들 열 번, 백 번 조심하시길” 이라고 말했다.

 

 

1.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이란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은 고음과 같은 큰 소리나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소음에 노출되어 귀 속에 있는 소리를 감지하는 세포들이 손상을 입어 청력이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손상은 대개 청력신경의 세포들이 소리의 파장이 너무 강하거나 길어지면 손상을 입는 것으로 인해 발생한다. 소음성 난청은 노화 및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소음 노출을 받은 직업, 오디오 장비 사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소음성 난청의 초기 증상으로는 소리를 듣는 능력이 감소되어 말을 알아들을 수 없거나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거나 귓속에서 지속적인 "삐 소리"가 나는 등의 증상이 있다. 이러한 초기 증상이 무시되거나 치료되지 않으면 청력의 저하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방과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음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거나 소음에 노출되는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장기간에 걸쳐 큰 소리에 노출되는 직업에서는 귀를 보호하기 위한 이어마개 또는 귀마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귀 속을 깨끗이 유지하고 귀 속에 이물질을 삽입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소음성 난청이 발생했다면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보조기구에는 전문적인 보청기, 코클리어 임플란트(Cochlear Implant) 등이 있다. 그러나 보조기구를 사용하더라도 원래의 청력 수준으로 돌아갈 수는 없으며 보조기구 사용에도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약물 치료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제제나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청력 손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치료 방법은 각각의 환자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전문적인 의료진의 조언을 받는 것이 좋다.

소음성 난청은 노출된 소리의 크기, 노출 시간, 노출 주파수 및 노출 주기 등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리의 크기는 소리의 진폭(Amplitude)으로 측정되며 높은 진폭일수록 더 큰 소리를 의미한다. 노출 시간은 소음에 노출된 시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85 데시벨 이상의 소리에 8시간 이상 노출되는 경우에 소음성 난청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소음성 난청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에 더욱 취약하며 고주파 대역에서의 손상이 더 심하다. 이러한 손상은 주로 소리의 진동이 청력 세포의 모세혈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만약 소음성 난청 초기 증상을 느낀다면 즉시 의사에게 상담하여 치료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소음성 난청은 점차 악화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다.

소음성 난청은 급성 소음성 난청과 만성 소음성 난청으로 구분된다. 급성 소음성 난청은 갑작스러운 큰 소리나 폭발음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으로 소리에 노출된 직후에 발생한다. 대개는 귀가 막힌 것처럼 들리거나 귓속에서 불규칙한 소리를 듣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가능한 빨리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초기에 대처하지 않으면 만성 소음성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성 소음성 난청은 장기간 높은 소리에 노출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소리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으로 진행하며 악화된다. 이러한 소음성 난청은 대개는 귀가 막힌 것처럼 들리거나 귓속에서 삐 소리나 우우 소리를 듣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소음성 난청은 대개 완전히 치료되지 않는다. 그러나 치료 없이도 증상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해 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귀마개, 이어마개, 귀마사지 등이 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활용하여 소음을 줄일 수도 있다.

 

2. 직업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이 있다면

직업적인 소음 노출이 많은 직업에서 일하는 경우 소음성 난청의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직업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는 예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좋은 방법은 소음 노출량을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귀를 보호할 수 있는 개인용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보호장구는 이어마개, 귀마개, 머플러, 보호성 안경 등이 있다. 이를 사용하면 귀를 보호하고 소음 노출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규정된 안전기준을 준수하고 안전 장비를 사용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공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는 귀를 보호하는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소음 노출량을 줄이기 위해 장비나 기계를 교체하거나 소음을 완화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귀가 소음에 노출된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소음성 난청은 예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빠른 조치를 취하여 치료하면 전체적인 치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소음 노출량이 높은 직업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청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소음성 난청이 발생한 경우 가능한 빨리 진단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